러브라엘 2022. 12. 23. 05:32
반응형

아래 그림은 이스라엘 땅에 심겨진 유일한 나무 - 올리브나무이다. 이 나무는 참올리브나무 가지(유대인신자)와 돌올리브나무 가지(이방인신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림에서 보이진 않지만 떨어져 나간 가지들이(믿지 않는 유대인) 나무 주변에 살아있다. 왜냐하면, 아직 수액이 마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위 그림은 David H Stern의 책 [Restoring the Jewishness of the Gospel]에 삽입된 유일한 그림의 일부를 스턴의 말을 인용해서 글쓴이가 재구성한 것이다.

 
 

이 나무의 다른 이름은 [이스라엘]이다. 앞의 포스팅에서 예슈아는 이스라엘의 장자로서 이스라엘과 분리될 수 없는 분 이 시고, 이 나무 전체에 생명의 물(요한복음 7장)을 공급하시는 분 이 시라고 말했다. 그렇다! 예슈아는 이스라엘이라는 나무에 생명의 물을 공급하시는 분 이시다! 마치 나무의 수액처럼 올리브나무 전체에 양분을 공급하며 흐르신다: 예슈아께서는 이스라엘의 구원 이시다! (노파심에 다시 말하자면, 유대인만 구원하신다는 뜻이 아니라는 사실을 제발 알아듣기를...,)

 

 

이 나무의 뿌리를 보라! 이 나무를 지탱하는 것은 이방인 신자들이 아니라 유대인 신자들과 그들의 언약 조상들이다. 예슈아께서는 아브라함보다 먼저 계신 분 이시지만, 이 땅에 오실 때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자손 중, 유다의 자손으로 또, 유다지파 다윗의 자손으로 오신 분 이 시기 때문에 예슈아는 뿌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무를 살리는 자양분으로서 - 이스라엘 땅 전체에 흐르는 생수의 강이 되시는 - 나무의 수액은 예슈아가 되신다!

 

 

예슈아는 올리브나무의 수액이시며 이스라엘 온 땅을 흐르는 생수의 강 이시다! (출처:예술정원)

 

 

하나님의 관점에서, 유대인으로 태어났다는 것 자체가 그들의 어드벤테이지이다. (롬 9:4-5) 어드벤테이지(advantage)는 차별적 이점이나, 선점적, 우위적 지위가 아니라 독특하고 독보적인 사명이자 선행적 부르심이다. 하나님의 능력도, 현 세상의 고난도, 올 세상의 영광도 유대인이 먼저 부여받았다는 뜻이다. (롬 1:16, 2:9-10)

 

 

그러니까, "본성을 거슬러 접붙여진 이방인신자(교회) 들이여! 자만하지 마라, 본성인 그들은(유대인) 더 잘 접붙여질 것이기 때문이다!" (롬 11:24) 

 

 

현재 유대인들 대부분이 예슈아를 메시아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는 구원의 독특한 섭리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그들의 눈을 잠시 감게 하셔서 복음이 이방인에게, 예슈아께서 이방인의 구원이 되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심오한 비밀이다!

 

그들의 넘어짐이 세상의 풍성함이 되며 그들의 실패가 이방인의 풍성함이 되거든 하물며 그들의 충만함 이리요! (롬 11:12)

 

사도 바울(샤울)이 로마서 9장-11장을 통해 그토록 간곡하게 당부했건만...., 오늘날 이방 교회는 로마가 만들어 놓은 시스템 안에서 더 견고한 아성을 쌓고 있다! 

 

 

하누카는 8일간 8개의 촛불을 켜는 것으로 기념한다. (출처:이코노믹 리뷰)

 

 

 

해마다 크리스마스 시즌에 누구는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인사하고, 또 누구는 "해피 하누카"라고 인사한다. 이 둘은 서로 다른 메시아를 믿는 건가? 분명히 말하자면 "메시크리스마스"는 로마 기독교 시스템이 만들어낸 태양신 숭배의 키워드이다.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세상 사람들은 예수(?)의 오심을 태양신 탄생에 기원을 둔 크리스마스에 기념하고 있지만, 정말 예슈아께서 세상에 오셨던 시대의 장엄함과 구원의 엄중함을 실제로 느끼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사실, 있는 그대로 말하자면 크리스마스는 사랑하는 연인이나 가족 모임이 있는 날, 백화점이 가장 바쁜 날, 9월이 생일이 많은 이유(크리스마스 베이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세상 사람들이 즐기는 자신들 만의 기념일이지 않겠나? 교회는 왜 이런 풍조에 휩쓸려 예슈아의 다시 오심을 헛되게 예배하고 있는지..., 코로나보다 더 강력한 바이러스가 올 것을 예측하는 이 시대에 더욱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반응형